입시 정보 알림 신청

    • 이름

    • 학교

    • 학년

    • 계열

  • 휴대폰번호

    • ( - 없이 숫자만 )

개인정보 수집 및 활동 동의 (필수)

목적 : 학원 강좌 및 설명회 외 정보 제공 등 서비스, 고객관리
수집항목 : 이름, 핸드폰번호, 학교, 학년, 계열
보유기간 : 제출 시점부터 3년간 보유

캠퍼스 뉴스

CAMPUS NEWS

세종

이감모의고사

작성자 : adminse

작성일 : 2023-07-10 13:17

조회 : 348

천하포문 국어 박상혁 X 이감 파이널 시즌 1 개강

2024학년도 수능에도 전설은 계속됩니다.

전국유일! 모든 문장, 모든 선지 해설

더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최고의 마무리!

전국 유일! 매주 이감 모의고사 모든 문항/선지 해설 강의 제공

모의고사 실전과 끊임없는 올해 수능 맞춤 학습 방향 제시

고3, 결국은 돌고 돌아 박상혁 선생님입니다.

※ 이감 모의고사 파이널 수업 - 7/14 개강

- 1회차 : 7월 14일 (금) 18:00~22:00

- 2회차 : 7월 21일 (금) 09:00~13:00

- 3회차 : 7월 28일 (금) 09:00~13:00

- 4회차 : 8월 4일 (금) 09:00~13:00

- 5회차 : 8월 11일 (금) 09:00~13:00

- 6회차 : 8월 18일 (금) ~ 8월 25일 (금) 18:00~22:00

* 이후 파이널 시즌 2 수업이 진행됩니다.

★ 장학제도1

(수험생 기준) 내신 1.3등급 이내 or 수학 / 과학 中 6월 모의고사 2등급 이내의

학생의 경우 수능까지 수강료 50% 지원

★ 장학제도2

수강생 中 신승현 소장님 1:1 입시 컨설팅 제공 (무료)

https://band.us/band/85658869/post/534

5

56

박상혁 선생님이 진행하는 '이감모의고사'는 무엇이 다른가요? 

1. 전국 유일 !! 전지문 해설강의 제공! (인강)

- 주요 몇 문제 풀이로 끝마치고 지나갈 컨텐츠가 아닙니다.

- 학생이 부족하다 느낀 지점은 반드시 해소하고 가야 합니다.

- 학생은 자신이 틀린/애매한 지점만 선별적으로 수강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2. 매주 무료 제공되는, 학생들의 학습에 꼭 필요한 컨텐츠!

1) 이감과 평가원의 연결고리! 이감과 EBS 연결고리! 박쓸개 !

이감 모의고사는 기출의 핵심사고를 정합적으로 구현합니다.

이감 모의고사는 EBS에서 출제 예상 소재를 엄중히 선별합니다.

하지만 이감이 제공하는 간쓸개에는 평가원 기출 문제와 EBS를 직접적으로 담을 수 없습니다.

이를 매주 박상혁T가 연구 선별하여 제작된 교재입니다.

2) 미뤄서는 안 되는 EBS수능특강! OVS N제로 해결!

공부할 시간이 없었다는 이야기 이해합니다.

문학만큼은 완전 정리되는 최고의 컨텐츠!

무료 제공

3) 문학 풀이시간을 20분대로 줄일 수 있는 마지막 카드, 문학작두!

문학, 작가 작품 <보기> 내용까지 적중시키는 히든 컨텐츠!

 그럼 학생들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? 

1. 우리가 해야 할 것은 '학습(學習)'이 아니라 '공부(工夫)'이다.

'학습'이라는 단어는 '배운 바를 익힌다'는 뜻입니다.

해당 단어가 주는 행동은

배움이 없다면 이루어 질 수 없고,

그냥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다시 보고 숙제로 준 내용을 열심히 이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.

하지만 놀라운 것은 '이런 방식의 열심히'는

성적 상승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는 점입니다.

그리고 제가 드리는 숙제 다 이행하기도 힘듭니다.

매주 제공되는 숙제의 양은 최소 이만큼입니다.

1) 이감모의고사 피드백(Feedback, 45문항)

2) 박쓸개 (이감 연계 EBS + 평가원기출 추출, 60문항 이상)

3) 간쓸개 (이감 주간지, 100문항 이상)

4) 선택(화작/언매) 보충 연습지 (주간 3회분, 33문항)

5) 문학모의고사 (3주차부터 3회분, 51문항)

학생들의 성적 변동에 맞춰 프린트는 추가적으로 제공될지 모릅니다.

그럼 이 내용을 모두 이행해야 할까요?

2. '공부'의 시작은 약점 파악과 우선순위 점검이다.

숙제를 모두 풀이하고 답을 맞추는 행위는 공부가 아닙니다.

공부는 채점의 결과, 즉 틀린 문항에서 시작됩니다.

'무엇을 틀렸는가?', '당시 나의 근거는 무엇인가?',

'앞으로 풀이할 때,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해야 옳은가?'

등의 성찰이 공부입니다.

다 풀이하기보다

이번 주 모의고사에서 아쉬웠던 부분,

그에 대한 보완을 위해서 무엇을 공부해볼까.

"지난주랑 이번주에 고전시가<보기>문제를 틀렸네. 간쓸개에 있는 <보기>문제 쭉 풀어야겠다."

그런데 약점 혹은 부족한 점이 너무 많으면 어떻게 하죠?

우선순위를 생각해야죠!

팔은 잘려있고, 다리는 찰과상이 있다면 어디부터 고쳐야 하나요?

당연히 팔이죠.

3. 제 스스로 약점을 찾는게 우선순위를 따지는 게 어려운데 어떻게 하죠?

※질문방 :

천하포문 카카오 채널 - http://pf.kakao.com/_qpzEs/chat

이감모의고사 수능 파이널 커리큘럼 영상

https://youtu.be/yr1nvIji8yA

 

수강신청 및 문의사항

☎044-715-7559

(세종지점 대치명인학원의 가장 빠른 소식 받아보기 &darr)

https://band.us/@0447157559

(새롬·나성동 BRT 정류장 맞은편 에스빌딩 8층)

등록번호 580-85-01841